[카테고리:] 삼원의학

  • 사상의학과의 연결

    상하축과의 연결

    이제마는 인체를 폐비간신의 네 부분으로 구분하여 설명했습니다.
    사상체질의 체형에 대한 서술을 참고하면 폐비간신 네 부분을 머리, 가슴, 배의 세 영역에 대응시킬 수 있습니다.
    태양인은 폐가 왕성한 체질인데 머리가 발달했고,
    소양인은 비가 왕성한 체질로 가슴이 발달했고 골반 부위가 빈약하다고 했습니다.
    소음인은 소양인과 반대로 가슴이 빈약하고 골반 부위가 발달했습니다.

    따라서 폐는 머리, 비는 가슴, 신은 배에 대응시킬 수 있습니다.
    간은 폐와 대대가 되는 부위이므로 몸통(가슴+배)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소양인은 비대신소(脾大腎小)하여 열(熱)한 경향을 띠고,
    소음인은 신대비소(腎大脾小) 하여 한(寒)한 경향을 보입니다.
    따라서 가슴>배 이면 열, 배>가슴 이면 한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 규칙에 따라 여섯 가지 색체질을 다시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RGB색체질사상체질
    배 > 가슴 > 머리ff8000주황색 체질한태음인
    가슴 > 배 > 머리80ff00연두색 체질열태음인
    가슴 > 머리 > 배00ff80봄녹색 체질소양인
    머리 > 가슴 > 배0080ff바다색 체질열태양인(?)
    머리 > 배 > 가슴8000ff보라색 체질한태양인(?)
    배 > 머리 > 가슴ff0080장미색 체질소음인

    개폐축과의 연결

    A값이 낮은 개방형의 경우 에너지가 체표를 향해 발산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이는 태양인처럼 호산지기(呼散之氣)가 발달한 유형에 해당합니다.
    A값이 높은 폐쇄형은 에너지가 체내로 수렴되고 저장되는 경향을 보입니다. 이는 태음인처럼 흡취지기(吸聚之氣)가 발달한 유형에 해당합니다.

    체질A값핵심 문제의 축
    태양인낮음 (개방형)개폐축 (개폐 문제)
    태음인높음 (폐쇄형)개폐축 (개폐 문제)
    소양인중간상하축 (열/한 문제)
    소음인중간상하축 (열/한 문제)

    사상의학의 해석

    위의 관계를 종합해 보면, BGR-A 모델이 표현하는 공간이 사상체질이 표현하는 공간보다 더 넓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태양인은 BGR-A가 표현하는 4차원 공간에서 B값이 크고 A값이 작은 영역에 해당합니다. 이렇게 사상의학에서 종속 변수로 다뤄졌던 요소들을 각각 독립 변수로 분리함으로써, 기존의 체질론을 더 세밀하고 입체적으로 해석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 최종 모델 – 이중 BGR-A 시스템

    이제 인간을 표현할 수 있는 완전한 모델이 구축되었습니다.
    인간을 몸과 마음이라는 두 차원으로 구분하고, 각각을 BGR-A 네 개의 값으로 나타내는 것입니다.
    이 모델은 인간을 단순히 유형으로 분류하는 수준을 넘어, 두 개의 독립적인 BGR-A 벡터를 통해 살아 숨 쉬는 한 사람의 몸과 마음을 시각적인 색상으로 표현합니다.

    • 몸의 BGR-A (體) : 선천적 설계도
      • 이 벡터는 개인이 태어날 때부터 지닌, 거의 변하지 않는 하드웨어적 구조와 잠재력을 나타냅니다. 그 값은 신체의 형태적 비율과 구조를 통해 객관적으로 관찰, 측정할 수 있습니다.
    • 마음의 BGR-A (用): 후천적 상태
      • 이 벡터는 그 하드웨어 위에서 작동하는 기능적, 심리적 활동의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는 행동 패턴, 언어 습관, 정서 반응 등을 통해 가변적으로 드러나는 값입니다.

    질병의 진단과 치료

    진단의 목표는 두 벡터를 비교하여 몸의 BGR-A와 마음의 BGR-A 사이의 불일치와 부조화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이 부조화가 심리적, 신체적 질환의 근원으로 작용합니다.
    따라서 치료의 대원칙은 ‘마음이 몸을 따르도록 하는 것’, 즉 마음의 BGR-A를 마음의 BGR-A에 다시 정렬시키는 것입니다.

  • 마음의 색 – 두 번째 BGR-A

    몸을 BGR-A의 네 값으로 표현했듯이, 마음 역시 동일한 BGR-A의 모델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모델 전체의 대칭성과 통일성이 완성됩니다.

    마음의 BGR-A 모델에서 B, G, R 값은 각각 머리, 가슴, 배 영역에서 드러나는 기능적 활성화 상태를 의미합니다.

    • B (Blue) 값 – 머리: 사고(思考)와 이성
      • B 값은 머리 영역에 대응하며, 사고(Thinking), 이성, 생각, 분석, 계획 등의 활성화 상태를 나타냅니다.
    • G (Green) 값 – 가슴: 감정(感情)과 관계
      • G 값은 가슴 영역에 대응하며, 감정(Emotion), 관계, 공감, 사회적 교류의 활성 정도를 보여줍니다.
    • R (Red) 값 – 배: 행동(行動)과 의지
      • R 값은 배 영역에 대응하며, 행동(Doing), 본능, 의지, 실행력의 강도를 나타냅니다.

    A (Alpha) 값은 마음의 개방성 또는 폐쇄성을 의미합니다.

    마음이 외부에 얼마나 열려 있는지를 나타내며, A값이 높을수록 사고와 감정의 표현이 자유롭고 타인과의 소통이 원활합니다. 반대로 A값이 낮을수록 내면이 닫히고 감정이 응축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세상과 만나는 통로 – 개폐축

    앞에서 BGR값에 대해 이야기할 때는 머리, 가슴, 배의 발달 정도에 초점을 두었지만, 팔과 다리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그 이유는 팔다리가 단순히 몸의 일부가 아니라, 몸이 세상과 직접 맞닿는 통로이기 때문입니다.
    팔다리의 구조는 인체라는 시스템이 외부 환경에 얼마나 열려 있는가, 혹은 닫혀 있는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목, 팔다리가 길고 가는 체형은 신체 표면적을 넓혀 외부와의 에너지 발산 및 교환에 유리한 열린 시스템을 이룹니다.
    목, 팔다리가 짧고 굵은 체형은 신체 표면적을 최소화하여 에너지 보존 및 손실 방지에 유리한 닫힌 시스템에 가깝습니다.

    이처럼 몸이 열리고 닫힌 정도를 개폐축이라 하겠습니다.

    앞에서 머리, 가슴, 배의 발달 정도를 RGB 색으로 표현했듯이 개폐축은 알파(Alpha, A) 값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는 마치 색(RGB)을 덮고 있는 베일의 투명도와 같습니다.

    몸의 구조 차원에서 개폐축을 측정할 때 가장 핵심적인 지표는 몸통 대비 팔다리의 상대적인 길이입니다.

    이제 우리는 BGR-A 네 개의 값으로 몸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게 되었습니다.

  • 몸의 세 부분, 여섯 개의 색 – 상하축과 색체질

    몸의 세 부분

    몸을 모델링해서 몇 개의 변수로 표현하려면 우선 구분 기준이 필요합니다.
    가장 단순하고 직관적인 방법은 몸을 머리, 가슴, 배의 세 부분으로 구분하는 것입니다.
    머리와 몸통은 외관상으로도 쉽게 구분되며, 가슴과 배는 해부학적으로 가로막을 기준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앞서 인간을 몸과 마음으로 구분할 때 몸은 구조를 나타낸다고 했습니다.
    머리, 가슴, 배의 구조적 특징은 각 부분의 발달 정도, 즉 크기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머리의 폭, 어깨의 폭, 골반의 폭을 측정한 후 인간의 평균값으로 정규화하면 머리, 가슴, 배의 상대적인 발달 정도를 세 개의 숫자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 세 변수를 하나의 축으로 묶어 ‘상하축’이라 부르겠습니다.

    색과의 만남

    머리, 가슴, 배를 세 개의 숫자로 표현하고 보니 문득 RGB색이 떠올랐습니다.
    RGB색은 우리가 컴퓨터나 스마트폰에서 흔히 색을 표현하는 방식으로 빨강, 초록, 파랑 세 가지 색의 크기를 세 개의 숫자로 표현합니다. 머리, 가슴, 배의 크기를 나타내는 숫자를 RGB값에 대응시키면 몸의 상태를 색 하나에 대응시킬 수 있게 됩니다.
    이 대응에는 직관적이고 보편적인 상징체계를 이용합니다.

    영역색의 상징
    머리B (Blue)사고, 이성, 논리와 연결되어 냉철함, 지성을 상징합니다.
    가슴G (Green)감정, 관계, 공감과 연결되며 균형과 조화를 상징합니다.
    R (Red)본능, 의지, 실행력과 연결되며 생명력과 행동의 에너지를 상징합니다.

    여섯 개의 색체질

    살아가면서 머리, 가슴, 배의 발달 정도인 b, g, r 값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값들의 상대적 비율은 쉽게 변하지 않습니다. 즉, 머리가 발달한 사람, 가슴이 발달한 사람, 배가 발달한 사람이 따로 있는 것입니다.

    색에도 이와 비슷한 속성이 있습니다.
    어두운 파란색이든 밝은 파란색이든 우리는 그것을 같은 계열의 파란색으로 인식합니다.
    이러한 속성을 ‘색상(Hue)’이라고 합니다.
    색상은 R, G, B 값의 상대적인 크기로 결정됩니다.
    색을 표현하는 방식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RGB 말고 HSB라는 방식이 있습니다.
    HSB는 색상(H), 채도(S), 밝기(B)로 색을 정의합니다.
    RGB 값을 HSB 값으로 변환하면 색상값(H)을 알 수 있고, 이 H값에 따라 체질을 분류할 수 있습니다.
    H값은 0~360까지 연속적인 값이지만, 여기서는 특징적인 구간을 정해 여섯 가지 유형으로 나누겠습니다. 각 체질을 대표하는 색은 해당 구간의 중간 H값에서 채도 100, 밝기 100인 원색입니다.

    머리, 가슴, 배를 상대적 발달 정도에 따라 나열하는 방법은 총 6가지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머리 < 가슴 < 배’인 경우 RGB 값으로 B < G < R 이 됩니다.
    이 구간에 해당하는 값을 원색인 경우에서 찾으면 ff0000 < RGB < ffff00 범위에 속하고, 그 중간값은 ff8000이 됩니다. 것도 있습니다.
    색상(H), 채도(S), 밝기(B)를 가지고 표현하는 것이지요.
    RGB 값을 HSB 값으로 변환하면 색상 값을 알 수 있고, 이 색상 값에 따라 체질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H값은 0~360까지 연속적인 값이어서 체질을 무한히 구분할 수 있지만 특징적인 구간을 정해서 6가지로 나누어 보겠습니다. 여기서 체질을 대표하는 색은 해당 구간의 중간 H값에서 채도 100, 밝기 100인 원색입니다.

    머리, 가슴, 배를 상대적 발달 정도에 따라 나열하는 방법은 총 6가지가 있습니다.
    ‘머리 < 가슴 < 배’인 경우 RGB 값으로 B < G < R 이 됩니다.
    원색인 경우에서 찾으면 ff0000 < RGB < ffff00 인 값들이 해당합니다.
    여기서 중간값은 ff8000이 됩니다.

    RGB색체질
    배 > 가슴 > 머리ff8000주황색 체질
    가슴 > 배 > 머리80ff00연두색 체질
    가슴 > 머리 > 배00ff80봄녹색 체질
    머리 > 가슴 > 배0080ff바다색 체질
    머리 > 배 > 가슴8000ff보라색 체질
    배 > 머리 > 가슴ff0080장미색 체질

  • 몸과 마음 – 두 개의 차원

    인간을 어떻게 이해할지를 고민하다가 문득 스마트폰을 떠올렸습니다.
    스마트폰은 물리적인 하드웨어와 그 위에서 작동하는 소프트웨어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해를 위해 구분해 생각하면 편리하지만, 실제로는 둘이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소프트웨어(앱)가 하드웨어를 제어하고, 하드웨어의 상태가 소프트웨어의 동작을 바꾸기도 합니다.

    인간도 이와 비슷합니다.
    몸은 인간의 하드웨어이고, 마음은 인간의 소프트웨어입니다. 마음이 불안하면 맥박이 빨라지고, 몸이 아프면 우울해집니다. 둘은 분리된 것이 아니라 서로를 끊임없이 반영하는 한 쌍입니다.

    몸(體, 구조): 물질로 드러난 나

    몸은 인간이 태어날 때부터 지닌 구조적 특성입니다.
    나의 습관, 감정, 환경이 오랜 시간 쌓여 압축된 흔적이 바로 몸입니다.

    몸은 단순히 정신을 담는 그릇이 아닙니다.
    정신이 스스로를 물질로 조각해 온 결과물입니다.
    즉, 몸은 나의 구조이자 나의 과거입니다.

    마음(用, 기능): 경험으로 드러난 나

    마음은 몸이라는 하드웨어 위에서 실행되는 기능적 활동입니다.
    눈에 보이지 않지만 누구나 매 순간 체험합니다.

    마음은 몸이 세상과 만나는 과정에서 생겨나는 움직임과 패턴입니다.

  • 왜 나는 길을 잃었나

    질서와 논리, 그리고 낯선 세계

    저는 제 인생의 전반부를 두 개의 세계에서 보냈습니다.
    첫 번째 세계는 물리학이었습니다. 그곳의 법칙은 완벽하게 정제된 수식으로 이루어져 있었습니다. 거대한 행성의 운동에서 미세한 입자의 진동까지, 모든 현상은 몇 개의 단순한 방정식으로 설명되었습니다. 그 질서의 아름다움에 저는 감탄했습니다.

    두 번째 세계는 프로그래밍이었습니다. 이곳은 논리의 언어로 구성된 세계였습니다. 명확한 문법과 오류 검출 시스템이 있었고, 문제는 원인을 찾으면 반드시 해결되었습니다. 잘 짜인 코드는 군더더기 없는 구조였고, 버그는 반드시 수정 가능한 범주에 속했습니다. 물리학에서 사용했던 수식들은 프로그램으로 옮기기 아주 좋았습니다. 수식들은 제가 만든 프로그램에서 살아 움직였습니다.
    물리학과 프로그래밍, 두 세계는 저에게 세상을 이해하는 두 개의 좌표축이었습니다. “모든 현상에는 원인이 있고, 모든 문제에는 해답이 있다.” 그것이 제가 살아온 세계의 규칙이었습니다.

    그리고 저는 세 번째 세계를 만났습니다. 바로 한의학이었습니다.
    이곳에는 놀라운 치료 경험들이 비유와 상징으로 설명되어 있었습니다. 제대로 다룰 줄만 안다면 기적을 행할 수 있을 것 같았습니다.

    하지만 환자를 앞에 두고도 비슷한 치험례를 찾아 헤맬 뿐, 환자의 상태가 머릿속에 그려지지 않았습니다.
    물리학에서는 F=ma라는 법칙이 있어서 m, a를 알면 F를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한의학에는 F가 뭔지, m이 뭔지 정의 내리기가 어렵습니다. 사용하는 용어들이 하나 같이 다 모호합니다. 그래서 이렇게 말하면 이런 것 같고 저렇게 말하면 저런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훌륭한 한의사들은 많이 있습니다. 마치 요즘의 인공지능이 방대한 데이터를 학습해 패턴을 익히듯이,
    훌륭한 한의사들도 그런 방식으로 지식을 체득하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그런 식의 공부는 저랑은 잘 맞지 않습니다. 저는 몇 가지 현상들을 통해서 원리를 찾고 그 원리를 통해 다시 현상들을 이해하고 예측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그래서 저는 임상가 대신 인간이라는 시스템을 모델링하는 개발자의 길을 택했습니다.
    제가 길을 잃은 이유는, 잘못된 곳에 들어섰기 때문이 아니라, 기존의 좌표계로는 이 세계를 표현할 수 없었기 때문이었습니다.
    이제 저는 새로운 언어와 구조로 인간이라는 시스템을 다시 모델링하려 합니다.

  • 삼원의학 – 우리가 아는 한의학

    저는 물리학을 전공하고 개발자로 일하는 한의사입니다.
    한의대를 졸업하고 10년이 넘게 한의학에 대해 고민해 봤지만, 도무지 뭐가 뭔지 알 수 없었습니다. 제가 이해하지 못하는 지식으로 사람을 치료할 수는 없었기에, 저는 임상가 대신 개발자가 되어 인체의 원리를 모델링하는 길을 택했습니다.

    저는 물리학처럼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거기에 살을 붙여 나가는 방식의 공부를 좋아합니다.
    한의학을 공부해 보면 한의학 이론들은 이해하기가 어렵고, 단편적인 지식만 한가득 모여 있는 것처럼 느껴집니다.
    그래서 아예 알기 쉬운 한의학 이론을 처음부터(from scratch) 만들어 보기로 했습니다.

    프로그램을 만들듯이, 인간을 어떻게 모델링할 수 있을지를 고민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여러 가지 우여곡절을 겪게 되었고
    이제 인간을 설명할 수 있는 하나의 지도를 완성할 실마리를 찾게 되었습니다.

    목표

    • 인체의 여러 가지 현상들을 설명할 수 있는 모델을 만든다.
    • 위의 모델에 기반하여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다.

    원칙

    • 모델은 최대한 단순해야 한다.
    • 모델은 직관적이어야 한다.
    • 일상적인 개념들을 잘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 우리말에 숨어 있는 진리들을 잘 활용한다.

    개발 방식

    • 이론의 개발 방식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개발 방식을 따르려고 합니다.
      개발 목표를 세우고, 개발을 진행한 후
      여러 가지 개념이나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지 내부 테스트를 하고
      적당한 단계에 이르면 세상에 공개해서 피드백을 받아 발전시키는 방식입니다.
    • 개발에 AI도 적절히 활용할 예정입니다.

    이 글은 제 모델 개발의 첫 번째 보고서이자,
    당신과 함께 완성해 나갈 인간 이해 시스템의 시작점입니다.
    이제, 당신의 몸과 마음속에 숨어 있는 원리를 함께 모델링하고 구현하는 정에 동참해 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