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에는 여러 기능을 하는 앱들이 있습니다.
우리 머릿속에도 이런 앱이 있다고 생각해 볼까요?
생각할 때는 머리 앱이 돌아갑니다.
감정이 요동치며 가슴이 두근거릴 때는 가슴 앱이 돌아갑니다.
밥을 먹을 때는 배 앱이 돌아갑니다.
이렇게 우리 몸과 마음의 여러 기능을 세 가지 부류로 나누어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심리 측면에서 머리는 생각을, 가슴은 감정을, 배는 본능을 담당합니다.
에너지 측면에서 머리는 에너지 발산, 가슴은 에너지 분배, 배는 에너지 흡수와 저장을 담당합니다.
이 세 가지 앱에 어떤 아이콘을 만들어주면 좋을까요?
머리는 차가운 이성을 나타내는 파란색(b), 배는 열정적 에너지를 나타내는 빨간색(r), 가슴은 이 둘을 조화시켜주는 녹색(g)이 좋겠습니다.
머리, 가슴, 배 앱이 얼마나 활발히 동작하고 있는지를 숫자로 표현하면 우리는 r, g, b 세 값을 얻을 수 있고 이것은 RBG 색상이라는 색 하나에 대응시킬 수 있습니다.
몸과 마음의 상태를 색 하나로 표현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이 색은 살아가면서 몸과 마음의 상태에 따라 바뀌지만 r, g, b 값의 상대적 크기인 색상 값은 잘 바뀌지 않습니다. 이것을 체질로 볼 수 있습니다. 체질은 아래와 같이 6가지 경우의 수가 있습니다. 여기에 대표색을 이용해서 이름을 붙였습니다.
RGB | 색체질 | |
배 > 가슴 > 머리 | ff8000 | 주황색 체질 |
가슴 > 배 > 머리 | 80ff00 | 연두색 체질 |
가슴 > 머리 > 배 | 00ff80 | 봄녹색 체질 |
머리 > 가슴 > 배 | 0080ff | 바다색 체질 |
머리 > 배 > 가슴 | 8000ff | 보라색 체질 |
배 > 머리 > 가슴 | ff0080 | 장미색 체질 |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