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tobwithu

  • 3층

    마음에 한 가지 상태값이 있는 것을 발견했지만
    이것을 인체에 대응해 보면서 혼란이 왔다.
    직관적으로 대응이 잘 되는 것 같은데
    마음의 상태라서 육체에 나타나는 증상과는 어긋나는 부분들이 있었다.

    계속 고민하다가 이건 비슷한 모습을 한 서로 다른 차원의 얘기라는 생각이 들었고
    3층짜리 건물이라는 모델을 생각해 냈다.
    우리 회사는 공유 오피스를 사용하는데 3층으로 되어 있고 내부 계단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것과 비슷한 것이다.

    1층은 물질의 층이다. 우리가 보고 듣고 만질 수 있는 물질 차원이다.
    2층은 정신의 층이다. 상상하고 느낄 수 있는 정신 차원이다.
    3층은 영혼의 층이다. 이건 뭔지 아직 잘 모르겠다.

    이렇게 층을 나누고 나면 내가 발견한 상태값은 정신의 층에 대한 것이라는 걸 알 수 있다.
    정신의 층이 가지고 있는 여러 상태값들이 있는데
    우리는 이것들을 육체와 동일한 형태로 느끼고 해석할 수 있다.

  • 상태값1

    경험을 통해 사람의 마음에 한 가지 상태값이 있는 것을 발견했다.
    이 값이 양으로 가면 사람이 영적인 상태가 되고, 음으로 가면 물질적인 상태가 된다.
    0이면 평균적인 사람이다.

    이것을 인체에 대응시켜보면 머리는 영적인 것, 배는 물질적인 것, 가슴은 인간적인 것에 대응된다.

    문제는 이 축이 뭘 의미하는 가이다.
    육체에 대응하는 것 같지는 않지만 잘 모르겠다.

  • 삼분법

    우리나라에는 우주 만물이 하늘, 땅, 사람의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는 천지인(天地人) 사상이 있습니다.
    인체도 이런 식으로 생각해 보면 머리, 가슴, 배의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머리는 천(天), 가슴은 인(人), 배는 지(地)에 해당합니다.

    머리가슴
    천지인
    심체
    존재 차원정신적인간적물질적
    심리적 기능사고감정본능
    대인 관계이해공감수용
    나눔지혜사랑실천
    행동 발현인지정서행동
    육체
    에너지소비분배흡수
  • 기(氣)

    스마트폰의 카메라 앱을 켜면 카메라 모듈에 전류가 평소보다 많이 흐르게 됩니다.
    소프트웨어에서 변화가 하드웨어의 변화를 일으키는 것입니다.

    인체에서도 비슷합니다.
    생각을 많이 하면 머리의 혈류량이 증가합니다.

    한의학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기(氣)가 머리로 이동했다고 표현합니다.
    그리고 기가 다시 혈(血)을 이끌었다고 설명합니다.

    저는 이것을 심체의 머리가 활성화되었다고 표현하겠습니다.
    혈류량이 증가한 것은 심체의 변화가 육체에 드러난 것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에서와 동일한 개념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심체의 변화가 육체의 변화의 원인이 됩니다.

    한의학에는 ‘치병필구어본(治病必求於本)’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질병을 치료할 때는 반드시 그 근본 원인을 찾아 치료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스마트폰에서 전기를 많이 소모하는 앱이 있어서 배터리가 금방 닳을 때, 보조 배터리를 달아주는 게 해결책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근본적인 해결은 문제가 되는 앱을 손보는 것이겠지요.
    물론 액정이 깨졌을 때는 액정을 교체하는 것이 근본적인 해결책입니다.

    치병필구어본은 육체 차원에서만 원인을 잘 찾으라는 말이 아닙니다.
    심체가 원인이 되는 경우 심체를 잘 살펴야 한다는 뜻도 담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 2층의 몸

    물질세계에서는 나의 육체가 바로 나입니다.
    정신세계에서의 나는 뭘까요?

    눈을 감고 자기 모습을 떠올려보면 대부분 자신의 육체와 비슷한 모습을 떠올릴 것입니다.
    육체에서 수집된 정보를 통해 이루어진 정신세계의 나입니다.
    이것을 심체(心體)라고 부르기로 하겠습니다.

    이렇게 2층(?)의 몸이 있습니다.
    문제는 2층의 몸이 같은 3차원 공간에 중첩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어떤 몸에 관해 이야기하는지 종종 혼동을 일으킵니다.

    다시 스마트폰으로 돌아가 보겠습니다.
    스마트폰 화면의 버튼을 누를 때,
    하드웨어 차원에서는 화면에 압력을 가하는 것이고, 소프트웨어 차원에서는 버튼을 누르는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 의미를 갖는 것은 소프트웨어 차원입니다.

    한의학도 마찬가지입니다. 한의학의 주된 관심사는 2층에 있는 심체입니다.
    경락, 경혈 등은 모두 심체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진단도 치료도 모두 심체가 중심이 됩니다.
    한의학에서는 심체에서 일어나는 일을 기(氣)로 설명합니다.1

    스마트폰에는 햅틱 기술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화면의 버튼을 누르면 진동을 일으켜서 실제 버튼 같은 느낌을 주는 것이지요.
    심체도 이와 비슷하게 실제 감각을 통해 느낄 수도 있습니다.
    두 손바닥을 약간 떨어뜨리고 마주한 뒤 정신을 집중하면 가운데 풍선이 있는 것 같은 압력을 느낄 수 있는데 이것이 심체의 느낌입니다.

    1. 이에 대비해서 육체에서 일어나는 일은 혈(血)로 설명합니다. ↩︎
  • 몸 – 터치 인터페이스

    몸은 물질과 정신을 잇는 신비로운 변환기다.

    스마트폰으로 나무를 찍으면 사진 파일이 만들어집니다.
    눈으로 나무를 보면 마음속에 나무가 그려집니다.
    우리 몸에서 일어나는 일과 스마트폰에서 일어나는 일이 비슷합니다.
    스마트폰에서 일어나는 일을 잘 생각해 보면,
    우리 몸에서 일어나는 일을 알 수 있습니다.1

    스마트폰 화면의 터치 버튼을 생각해 볼까요?
    화면의 버튼은 스마트폰에 저장된 정보를 보여주는 동시에 정보를 바꿀 수 있게 해줍니다.

    몸에도 터치 버튼 같은 것이 있어서
    마음을 보여주는 동시에 마음을 바꿀 수 있게 해줍니다.

    가슴 아픈 일을 당하는 것은 몸으로 겪은 경험이 마음을 바꾸는 일입니다.
    실제로 가슴에 통증을 느끼기도 합니다. 몸이 마음을 보여주는 것이지요.

    몸을 터치 인터페이스로 해석할 수 있다는 것이 저의 생각입니다.

    1. 이렇게 생각하는 방식을 유비추리(類比推理)라고 합니다. 한의학은 유비추리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
  • 삼원의학 – 우리가 아는 한의학

    저는 물리학을 전공하고 개발자로 일하는 한의사입니다.
    한의대를 졸업하고 10년이 넘게 한의학에 대해 고민해 봤지만, 도무지 뭐가 뭔지 알 수 없었습니다. 제가 이해하지 못하는 지식으로 사람을 치료할 수는 없었기에, 저는 임상가 대신 개발자가 되어 인체의 원리를 모델링하는 길을 택했습니다.

    저는 물리학처럼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거기에 살을 붙여 나가는 방식의 공부를 좋아합니다.
    한의학을 공부해 보면 한의학 이론들은 이해하기가 어렵고, 단편적인 지식만 한가득 모여 있는 것처럼 느껴집니다.
    그래서 아예 알기 쉬운 한의학 이론을 처음부터(from scratch) 만들어 보기로 했습니다.

    프로그램을 만들듯이, 인간을 어떻게 모델링할 수 있을지를 고민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여러 가지 우여곡절을 겪게 되었고
    이제 인간을 설명할 수 있는 하나의 지도를 완성할 실마리를 찾게 되었습니다.

    목표

    • 인체의 여러 가지 현상들을 설명할 수 있는 모델을 만든다.
    • 위의 모델에 기반하여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다.

    원칙

    • 모델은 최대한 단순해야 한다.
    • 모델은 직관적이어야 한다.
    • 일상적인 개념들을 잘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 우리말에 숨어 있는 진리들을 잘 활용한다.

    개발 방식

    • 이론의 개발 방식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개발 방식을 따르려고 합니다.
      개발 목표를 세우고, 개발을 진행한 후
      여러 가지 개념이나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지 내부 테스트를 하고
      적당한 단계에 이르면 세상에 공개해서 피드백을 받아 발전시키는 방식입니다.
    • 개발에 AI도 적절히 활용할 예정입니다.

    이 글은 제 모델 개발의 첫 번째 보고서이자,
    당신과 함께 완성해 나갈 인간 이해 시스템의 시작점입니다.
    이제, 당신의 몸과 마음속에 숨어 있는 원리를 함께 모델링하고 구현하는 정에 동참해 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