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tobwithu
-
음양으로
어제 생각하느라 잠을 설쳤다.그래도 생각이 어느 정도 정리가 되었다.지금의 3층 구조는 v2.0에서 다루는 게 낫겠다.몸과 마음에 대해서만 이야기하면 깔끔하게음양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기를 보사하는 법에 대해서도 생각해 봤는데일단 자극을 주는 쪽으로 기가 모인다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이제 틀이 잡혀간다. This is the moment.
-
기(氣)에 대한 고민
인체의 모델은 대강 정리가 되어서 다음 단계로 넘어가려고 하니기에 대한 설명이 필요했다.한의학에서 기는 논쟁의 대상이고 공격의 대상이기도 하다.나는 대강 느낌으로 뭔지는 알 것 같은데 설명하기는 어렵다.하지만 쉽게 설명할 수 없는 건 모르는 것이다. 인체를 스마트폰에 비유하여 설명하는 모델이 직관적이고 괜찮은 것 같으니계속 발전시켜 봐야겠다.하지만, 이 경우 기에 대한 설명이 쉽지 않다.기에 대한 설명을 못 할…
-
3층
마음에 한 가지 상태값이 있는 것을 발견했지만이것을 인체에 대응해 보면서 혼란이 왔다.직관적으로 대응이 잘 되는 것 같은데마음의 상태라서 육체에 나타나는 증상과는 어긋나는 부분들이 있었다. 계속 고민하다가 이건 비슷한 모습을 한 서로 다른 차원의 얘기라는 생각이 들었고3층짜리 건물이라는 모델을 생각해 냈다.우리 회사는 공유 오피스를 사용하는데 3층으로 되어 있고 내부 계단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이것과 비슷한 것이다. 1층은…
-
상태값1
경험을 통해 사람의 마음에 한 가지 상태값이 있는 것을 발견했다.이 값이 양으로 가면 사람이 영적인 상태가 되고, 음으로 가면 물질적인 상태가 된다.0이면 평균적인 사람이다. 이것을 인체에 대응시켜보면 머리는 영적인 것, 배는 물질적인 것, 가슴은 인간적인 것에 대응된다. 문제는 이 축이 뭘 의미하는 가이다.육체에 대응하는 것 같지는 않지만 잘 모르겠다.
-
삼분법
우리나라에는 우주 만물이 하늘, 땅, 사람의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는 천지인(天地人) 사상이 있습니다.인체도 이런 식으로 생각해 보면 머리, 가슴, 배의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머리는 천(天), 가슴은 인(人), 배는 지(地)에 해당합니다. 머리 가슴 배 천지인 천 인 지 심체 존재 차원 정신적 인간적 물질적 심리적 기능 사고 감정 본능 대인 관계 이해 공감 수용…
-
기(氣)
스마트폰의 카메라 앱을 켜면 카메라 모듈에 전류가 평소보다 많이 흐르게 됩니다.소프트웨어에서 변화가 하드웨어의 변화를 일으키는 것입니다. 인체에서도 비슷합니다.생각을 많이 하면 머리의 혈류량이 증가합니다. 한의학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기(氣)가 머리로 이동했다고 표현합니다.그리고 기가 다시 혈(血)을 이끌었다고 설명합니다. 저는 이것을 심체의 머리가 활성화되었다고 표현하겠습니다.혈류량이 증가한 것은 심체의 변화가 육체에 드러난 것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스마트폰에서와 동일한 개념입니다.대부분의 경우 심체의…
-
2층의 몸
물질세계에서는 나의 육체가 바로 나입니다.정신세계에서의 나는 뭘까요? 눈을 감고 자기 모습을 떠올려보면 대부분 자신의 육체와 비슷한 모습을 떠올릴 것입니다.육체에서 수집된 정보를 통해 이루어진 정신세계의 나입니다.이것을 심체(心體)라고 부르기로 하겠습니다. 이렇게 2층(?)의 몸이 있습니다.문제는 2층의 몸이 같은 3차원 공간에 중첩되어 있다는 것입니다.그래서 어떤 몸에 관해 이야기하는지 종종 혼동을 일으킵니다. 다시 스마트폰으로 돌아가 보겠습니다.스마트폰 화면의 버튼을 누를 때,…
-
몸 – 터치 인터페이스
몸은 물질과 정신을 잇는 신비로운 변환기다. 스마트폰으로 나무를 찍으면 사진 파일이 만들어집니다.눈으로 나무를 보면 마음속에 나무가 그려집니다.우리 몸에서 일어나는 일과 스마트폰에서 일어나는 일이 비슷합니다.스마트폰에서 일어나는 일을 잘 생각해 보면,우리 몸에서 일어나는 일을 알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화면의 터치 버튼을 생각해 볼까요?화면의 버튼은 스마트폰에 저장된 정보를 보여주는 동시에 정보를 바꿀 수 있게 해줍니다. 몸에도 터치 버튼…
-
우아한 : 파트 2(개발중)
-
우리가 아는 한의학
저는 물리학을 전공하고 개발자로 일하는 한의사입니다.한의대를 졸업하고 10년이 넘게 한의학에 대해 고민해 봤지만, 당최 뭐가 뭔지 모르겠기에 한의사는 못하고 있습니다.저는 물리학처럼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거기에 살을 붙여 나가는 방식의 공부를 좋아합니다.한의학을 공부해 보면 한의학 이론들은 이해하기가 어렵고, 단편적인 지식만 한가득 모여 있는 것처럼 느껴집니다.그래서 아예 알기 쉬운 한의학 이론을 처음부터(from scratch) 만들어 보기로 했습니다.그 과정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