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파트 2
-
색체질
살아가면서 심체의 상태를 나타내는 RGB 값은 계속 변합니다.그럼에도 변하지 않는 속성이 있다면 체질이라고 할 수 있겠지요.이제마의 사상체질의학에서는 인체의 장부 대소가 변하지 않는 속성이라고 합니다.제 모델에서는 머리, 가슴, 배의 상대적인 활성도가 변하지 않는 값입니다.머리가 발달한 사람, 가슴이 발달한 사람이 따로 있는 것입니다. 색에서도 그런 속성이 있습니다.어두운 파란색이든 밝은 파란색이든 우리는 같은 계열인 파란색으로 인식할 수 있습니다.이러한…
-
RGB
심체의 머리, 가슴, 배의 활성화 정도를 세 개의 숫자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이 숫자는 다시 색을 상징하는 RGB값에 대응시킬 수 있습니다.머리는 차분함, 지성을 상징하는 파란색(B),가슴은 균형, 조화를 상징하는 녹색(G),배는 생명력, 열정을 상징하는 빨간색(R)에 대응시킬 수 있습니다.이렇게 하면 인체의 상태를 더욱 직관적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사람마다 태어나면서 머리, 가슴, 배의 활성화 정도가 다르게 태어납니다.자기의 색을 가지고 태어나는…
-
삼분법
우리나라에는 우주 만물이 하늘, 땅, 사람의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는 천지인(天地人) 사상이 있습니다.인체도 이런 식으로 생각해 보면 머리, 가슴, 배의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머리는 천(天), 가슴은 인(人), 배는 지(地)에 해당합니다. 머리 가슴 배 천지인 천 인 지 심체 존재 차원 정신적 인간적 물질적 심리적 기능 사고 감정 본능 대인 관계 이해 공감 수용…
-
기(氣)
스마트폰의 카메라 앱을 켜면 카메라 모듈에 전류가 평소보다 많이 흐르게 됩니다.소프트웨어에서 변화가 하드웨어의 변화를 일으키는 것입니다. 인체에서도 비슷합니다.생각을 많이 하면 머리의 혈류량이 증가합니다. 한의학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기(氣)가 머리로 이동했다고 표현합니다.그리고 기가 다시 혈(血)을 이끌었다고 설명합니다. 저는 이것을 심체의 머리가 활성화되었다고 표현하겠습니다.혈류량이 증가한 것은 심체의 변화가 육체에 드러난 것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스마트폰에서와 동일한 개념입니다.대부분의 경우 심체의…
-
2층의 몸
물질세계에서는 나의 육체가 바로 나입니다.정신세계에서의 나는 뭘까요? 눈을 감고 자기 모습을 떠올려보면 대부분 자신의 육체와 비슷한 모습을 떠올릴 것입니다.육체에서 수집된 정보를 통해 이루어진 정신세계의 나입니다.이것을 심체(心體)라고 부르기로 하겠습니다. 이렇게 2층(?)의 몸이 있습니다.문제는 2층의 몸이 같은 3차원 공간에 중첩되어 있다는 것입니다.그래서 어떤 몸에 관해 이야기하는지 종종 혼동을 일으킵니다. 다시 스마트폰으로 돌아가 보겠습니다.스마트폰 화면의 버튼을 누를 때,…
-
몸 – 터치 인터페이스
몸은 물질과 정신을 잇는 신비로운 변환기다. 스마트폰으로 나무를 찍으면 사진 파일이 만들어집니다.눈으로 나무를 보면 마음속에 나무가 그려집니다.우리 몸에서 일어나는 일과 스마트폰에서 일어나는 일이 비슷합니다.스마트폰에서 일어나는 일을 잘 생각해 보면,우리 몸에서 일어나는 일을 알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화면의 터치 버튼을 생각해 볼까요?화면의 버튼은 스마트폰에 저장된 정보를 보여주는 동시에 정보를 바꿀 수 있게 해줍니다. 몸에도 터치 버튼…
-
우아한 : 파트 2(개발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