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가면서 심체의 상태를 나타내는 RGB 값은 계속 변합니다.
그럼에도 변하지 않는 속성이 있다면 체질이라고 할 수 있겠지요.
이제마의 사상체질의학에서는 인체의 장부 대소가 변하지 않는 속성이라고 합니다.
제 모델에서는 머리, 가슴, 배의 상대적인 활성도가 변하지 않는 값입니다.
머리가 발달한 사람, 가슴이 발달한 사람이 따로 있는 것입니다.
색에서도 그런 속성이 있습니다.
어두운 파란색이든 밝은 파란색이든 우리는 같은 계열인 파란색으로 인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속성을 ‘색상(Hue)’이라고 합니다.
색상은 R, G, B 값의 상대적인 크기로 결정됩니다.
색을 표현하는 방식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RGB 말고 HSB라는 것도 있습니다.
색상(H), 채도(S), 밝기(B)를 가지고 표현하는 것이지요.
RGB 값을 HSB 값으로 변환하면 색상 값을 알 수 있고, 이 색상 값에 따라 체질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H값은 0~360까지 연속적인 값이어서 체질을 무한히 구분할 수 있지만 특징적인 구간을 정해서 6가지로 나누어 보겠습니다. 여기서 체질을 대표하는 색은 해당 구간의 중간 H값에서 채도 100, 밝기 100인 원색입니다.
머리, 가슴, 배를 활성도에 따라 나열하는 방법은 총 6가지가 있습니다.
머리 < 가슴 < 배 인 경우 RGB 값으로 B < G < R 이 됩니다.
원색인 경우에서 찾으면 ff0000 < RGB < ffff00 인 값들이 해당합니다.
여기서 중간값은 ff8000이 됩니다.
RGB | 색체질 | 사상체질 | |
머리 < 가슴 < 배 | ff8000 | 주황색 체질 | 한태음인 |
머리 < 배 < 가슴 | 80ff00 | 연두색 체질 | 열태음인 |
배 < 머리 < 가슴 | 00ff80 | 봄녹색 체질 | 소양인 |
배 < 가슴 < 머리 | 0080ff | 바다색 체질 | 열태양인(?) |
가슴 < 배 < 머리 | 8000ff | 보라색 체질 | 한태양인(?) |
가슴 < 머리 < 배 | ff0080 | 장미색 체질 | 소음인 |
답글 남기기